길을 걸을 때마다 발뒤꿈치나 발바닥에 찌릿한 통증을 느끼셨다면 족저근막염을 의심해보셔야 합니다. 족저근막염이 흔한 질환으로 생각하여 방치하기 쉽지만, 초기에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족저근막염 증상과 치료법 및 예방법을 보시고 일상생활에서 활용해보시기를 바랍니다.
목차
족저근막염이란?
발바닥 근막은 발뒤꿈치와 발 앞쪽을 연결하는 거미줄 모양의 두꺼운 인대로 충격 흡수 장치 역할을 하며, 걸을 때 발의 아치를 지지해줍니다.
일상생활에서 발바닥 근막 인대를 많이 사용하면 쉽게 마모되고, 발에 많은 압력을 가하게 되면 인대가 찢어지게 됩니다. 이는 발바닥 근막에 염증이 생기고 염증으로 인해 발뒤꿈치에 통증과 경직이 발생하는 족저근막염을 불러일으킵니다.
족저근막염 증상
족저근막의 증상은 발뒤꿈치 바닥이나 발바닥 중간 부분에 통증을 느낍니다. 일반적으로 한쪽 발에 영향을 주지만 양발 모두 통증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
족저근막염은 시간이 지날수록 점진적으로 발생하여 둔하거나 날카로운 통증, 발바닥에 작열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족저근막 통증은 아침에 침대에서 첫발을 내디딜 때나 잠시 누워있거나 앉아 있을 때 통증이 더 심해집니다. 또, 발뒤꿈치가 뻣뻣해져서 계단 오르기가 힘들 수 있습니다.
족저근막염이 있는 사람은 보통 활동 중에 통증을 느끼지 않지만, 장시간 활동 후에 자극이나 염증이 많아져 통증이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족저근막염 원인
족저근막은 발뒤꿈치뼈와 발가락 기저부를 연결하는 근막입니다. 근막의 스트레스와 긴장은 작은 파열을 유발하고, 근막이 반복적으로 늘어지거나 찢어지면서 생긴 자극으로 염증이 생겨 통증을 유발하게 됩니다.
족저근막염을 발생시키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40~70세 사이의 활동이 많은 남성과 여성 -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흔하게 발생합니다.
- 과체중이거나 비만인 경우 - 발바닥 근막 인대에 압력이 증가하여 발생합니다.
- 장거리 달리기, 에어로빅, 발레와 같은 특정 유형의 운동을 하는 경우 - 발뒤꿈치와 연결된 조직에 스트레스를 줍니다.
- 걷거나 서서 일하는 직업인 경우
- 평발이거나 높은 아치를 가진 구조적인 발 문제인 경우
- 밑창이 부드럽고 아치 지지력이 약한 신발을 자주 신는 경우
- 임신 후기의 임산부인 경우
족저근막염 합병증
족저근막염을 방치하면 만성 발뒤꿈치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만성 발뒤꿈치 통증이 생기면 걷는 방식이 달라지고 무릎, 다리, 엉덩이 또는 허리에 부상이 생길 위험이 높아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족저근막염 치료법
족저근막염 치료 방법은 가장 먼저 휴식 취하기, 교정기 및 항염증제 사용과 같은 가정치료가 첫 번째 방법입니다. 가정치료를 했지만 통증이 줄어들지 않으면 족저근막염 전문 병원에서는 손상된 인대에 스테로이드를 직접 놓게 됩니다.
자세한 족저근막염 치료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비수술적 치료
1. 보조기
기성품 또는 맞춤형 아치 지지대(보조기)를 사용하여 발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켜 통증을 줄여줍니다.
2.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휴식 취하기나 보조기를 사용해도 통증이 줄어들지 않으면 소염진통제를 맞습니다. 소염진통제는 효과가 있으나 장시간 사용하는 것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니 의사와 상담 후 사용 기간을 정하는 게 좋습니다.
3. 물리치료
물리치료는 발바닥 근막과 아킬레스건을 스트레칭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물리치료를 통해 종아리 근육을 강화하고, 불안한 걸음을 안정시켜 족저근막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여줍니다.
4. 충격파 치료
통증이 지속되고 다른 방법에 효과가 없다면 충격파 치료를 합니다. 충격파 치료는 음파가 발뒤꿈치를 자극하여 치료하는 방법으로 부종, 타박상, 통증, 얼얼함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5. 스트레칭 운동
종아리와 족저근막을 스트레칭하면 근육이 이완되고 발뒤꿈치 통증이 감소하여 족저근막염을 예방하고 완화할 수 있습니다. 족저근막염 스트레칭은 의자와 폼롤러, 얼린 물병과 같은 주변에서 구하기 쉬운 물건으로 할 수 있습니다.
족저근막이 치유될 동안에는 달리기와 같은 특정 운동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영이나 충격이 적은 활동을 할 경우 운동 시작 전에는 스트레칭을 꼭 해야 합니다.
수술적 치료
수술은 가장 극적인 치료법으로 통증이 심하거나 족저근막염 통증이 6~12개월 이상 지속되었을 때 실시합니다. 수술은 신경 손상과 만성 통증을 유발할 수 있어 충분히 고려한 후에 하는 것이 좋습니다.
1. 비복근 후퇴
꾸준히 스트레칭해도 발을 구부리기 어려운 경우 비복근 후퇴 수술 권합니다. 비복근 후퇴 수술은 종아리 근육을 늘려 발 유연성과 발목의 움직임을 증가시켜 족저근막이 받는 스트레스를 줄여줍니다.
2. 족저근막 이완
족저근막 이완은 족저근막 인대의 일부를 잘라 인대가 받은 긴장과 염증을 완화해주는 수술입니다. 인대에 작게 절단하여 발뒤꿈치뼈에 발바닥 근막을 분리하는 것으로 내시경이나 개방 수술이 진행됩니다.
족저근막 이완 수술은 인대의 긴장을 완화해주는 역할을 하지만 발의 아치를 약화하고 기능을 상실할 수 있으니 신중하게 선택하시기를 바랍니다.
족저근막염 예방법
족저근막염 통증을 줄이는 예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충분한 휴식 취하기
족저근막염의 통증은 인대에 자극과 염증이 생겨 나타나므로 휴식을 취하면 통증이 감소합니다. 쉬는 동안 발을 높게 유지하고 발에 충격이 적은 자전거 타기나 수영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장시간 일하는 경우 자주 앉거나 높은 의자를 사용하여 발의 압력을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2. 스트레칭
운동이나 활동 전에는 발바닥 스트레칭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발바닥 스트레칭은 족저근막과 족저근막을 둘러싼 근육을 유연하게 만들어 통증과 부상이 줄여주는 효과적입니다. 아래에 있는 족저근막염 스트레칭을 따라 해주시기를 바랍니다.
3. 야간 부목 착용
야간 부목을 착용하면 잠자는 동안 종아리와 발바닥의 근막을 스트레칭하여 통증이 줄어듭니다.
4. 체중 감량
체중을 감량하면 발바닥 근막 인대와 발에 부담이 줄어들어 족저근막염 통증이 줄어들게 됩니다.
5. 올바른 신발 착용
지금 신고 있는 신발이 아치를 잘 지지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아치 지지가 좋은 족저근막염 신발은 근막의 스트레스를 줄여주어 족저근막염 재발을 예방합니다. 신발은 오래 신는 것보다 정기적으로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슬리퍼나 샌들 등 바닥이 평평한 신발은 아치를 전혀 지지해주지 않아 족저근막염이 발생할 수 있으니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 하이힐은 몸의 체중이 앞쪽으로 실리게 되어 종아리와 발에 부담을 주니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6. 맞춤형 교정기 사용
발에 딱 맞는 맞춤형 교정기를 사용하면 아치 지지가 잘 이루어져 족저근막염 재발 예방에 효과적입니다.
7. 통증 나타나면 치료받기
족저근막염은 흔하게 발생할 수 있어 첫 징후가 보이면 바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조기 치료는 족저근막염의 진행을 예방하는 방법입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관원 가격, 효능, 성분, 구매 총정리 (0) | 2023.02.09 |
---|---|
위내시경 금식시간 및 주의사항-건강검진 대상자 조회 (0) | 2023.02.08 |
마그네슘 부족 증상 10가지 총정리-마그네슘 흡수율 높이는 방법 (0) | 2023.02.06 |
아이허브 마그네슘 Best 7 추천-어린이 마그네슘 포함 (0) | 2023.02.06 |
다리 쥐 빨리 푸는 법-다리 쥐 예방하는 꿀팁! (0) | 2023.02.05 |